나스닥 ETF인데 비과세 상품? KRX나스닥100 ETF선물지수

죽음과 세금은 불가피하다는 투자 격언처럼 투자에서 세금은 세트처럼 따라온다.특히 이자배당수익의 경우 한국에서는 15.4%의 세금을 떼기 때문에 특별한 비과세 상품이 아니면 수익의 일정 부분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투자에 있어서 세금은 필연적이다이런 상황에서 참신한 금융상품이 등장했다. 한국거래소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협업해 만든 KRX나스닥100 ETF 선물지수다. 이 상품의 가장 큰 특징은 앞서 언급한 세율 15.4%를 떼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어떤 상품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국내 첫 ETF 선물지수 등장금융위원회에서 신규 발표한 지수 9종의 내용이다. 그중 단연 눈에 띄는 것은 역시 KRX나스닥100 ETF 선물지수다. 해외물 비과세 투자전략 반영이라는 특징이 눈에 띈다.KRX나스닥100 ETF선물지수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나스닥100 ETF선물 수익률을 추종하는 국내 최초 ETF선물지수다. 한국거래소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협업으로 탄생한 상품이다.통상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TIGER, KODEX, KBSTAR, ARIRANG 등)는 매매차익에 대해 15.4% 과세된다. 미국 시장에 직접 상장된 ETF(VOO, IVV 등)에 비하면 매매차익에 대한 세율이 낮지만(22%)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매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는 것이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국내 상장 ETF와 해외 상장 ETF의 차이점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클릭,국내 상장 해외 ETF와 해외 상장 ETF의 차이점 내 블로그를 통해 ETF의 장점과 ETF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많은 설명을 해왔다. 시장에… m.blog.naver.com이런 세율에 대한 불만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거래소에서 새로 발표한 KRX나스닥100 ETF다. 이 ETF는 기초자산이 지수인 다른 지수 ETF와는 구조가 조금 다르다. 장내파생상품인 ETF 선물지수 자체를 기초자산으로 하기 때문에 비과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건 정당한 거야? 마을용사 제보본 상품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나스닥에 투자하는 ETF라는 본질이라면 세법에 따라 과세되는 것이 맞지만, 이 상품을 포장한 포장지는 ‘장내 파생상품’으로 국내 세법상 비과세다.이하의 예를 보자. 국내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에 투자했다가 매매차익이 나면 매매차익과 과표기준가격(과표기준가격) 중 적은 금액에 대해 15.4%가 적용된다. 1억이 매매차익일 경우 세금은 154만원에 달한다.그러나 KRX나스닥100 ETF 선물지수는 나스닥100지수를 바로 따라가지 않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출시한 이 ETF는 앞서 언급했듯이 KRX나스닥100 ETF 선물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추종하는 상품이다. 따라서 ETF 자체가 지수가 되면서 ETF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중구조)가 된 셈이다. 따라서 선물자산을 기초로 한 ETF의 매매차익은 세금이 ‘0원’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주: 소득세법 시행령 제26조 장내파생상품의 거래나 평가로 인하여 발생한 손익은 집합투자기구의 이익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이 부분에 대해서 갑론을박이 있다. 소득세법의 취지는 국내 선물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금 혜택을 준 것인데 이를 악용한 것 아니냐는 다른 운용사들의 지적이 있어 기획재정부가 해석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형태의 상품 출시가 가능해지면 앞으로 어떤 운용사가 해외 지수형으로 상품을 내놓느냐는 것이다. 모두 이중 ETF 구조를 통해 세금 혜택을 주는 상품으로 바꿔 출시할 것이 자명하다는 것이다.다만 이에 대해 출시 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현재 TIGER 나스닥100 ETF 선물지수의 경우 나스닥100과 달리 한국 시장 안에서 변동하는 명백한 ‘한국 선물지수’라는 것이다. 또 만기에 기초자산인 나스닥100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정확히 나스닥100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지도 않는다는 추가 설명이 있다.사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이중 ETF 구조로 세금 부분에 혜택을 볼 수 있는 상품이 생긴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고 기쁘다. 다만 이런 구조의 ETF 출시로 형평성에 어긋날 여지가 있다는 점만 해결되길 바란다.다만 이에 대해 출시 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현재 TIGER 나스닥100 ETF 선물지수의 경우 나스닥100과 달리 한국 시장 안에서 변동하는 명백한 ‘한국 선물지수’라는 것이다. 또 만기에 기초자산인 나스닥100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정확히 나스닥100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지도 않는다는 추가 설명이 있다.사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이중 ETF 구조로 세금 부분에 혜택을 볼 수 있는 상품이 생긴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고 기쁘다. 다만 이런 구조의 ETF 출시로 형평성에 어긋날 여지가 있다는 점만 해결되길 바란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