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차트분석,주가 동향및 전망

기업 개요

미국의 온디맨드 콘텐츠 서비스 제작 기업으로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이다.190여 개국에서 1억9900만 명 이상의 유료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장르와 언어로 TV 시리즈, 다큐멘터리 및 장편 영화를 디지털 기기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또 미국의 200만명 이상의 회원이 당사가 제공하는 기존 DVD-메일 서비스(DVD-by-mail)에 가입해 있다.

· 시가총액 – 106.303B · 총주식발행수 – 444,705,591주 · PER – 22.13 // EPS-10.80/ ROA-10.10 ·배당금-없음

넷플릭스의 경우 총매출, 매출이익률,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또 영업이익률이 순이익률은 높아 고마운 기업으로 볼 수 있다. 넷플릭스 주가 동향

코로나 시점을 기준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넷플릭스 주가 동향은 어떻게 될까. ·고점:700.99달러 ·저점:162.71달러 ·2020~2021년 기간수익률:86.19% ·2022년수익률:-60.32% ·고점기준수익률:-65.23%최근 2022년 2분기 실적

인베스팅

최근 넷플릭스 2분기 실적 발표에서는 분기 주당순이익은 2.97달러로 시장 전망치 3.2달러보다 7.74%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7.74% 증가했다.

sec.gov

분기 매출은 79억70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였던 80억3000만달러에 비해 1.08% 밑돌고 전년 동기보다 8.6% 성장했다. 다음 실적 발표일은 10월 18일이다. 2022년 차트 분석2022년 차트를 보면 넷플릭스 주가는 두 차례 폭락세를 보였다. 1차 폭락은 01/21 기준 -21.79%였지만 이날은 지난해 4분기 총 828만명의 신규 가입자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고 밝혔고, 이는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가 추정치 839만명을 밑도는 수치로 신규 가입자 정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이 크게 작용한 결과다.그러면서 넷플릭스 주가가 -35.12% 상장 후 거래량이 폭발한 최대 폭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이 같은 폭락은 전날 장 마감 이후 1분기 구독자 수가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약 10년 만에 첫 감소세였다. 이와 동시에 이날 넷플릭스의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540억달러가 증발했다.이 같은 악재가 겹치면서 2020년 넷플릭스 주가가 급락해 지난해 기록한 고점인 700.99달러에서 곧 162.71달러로 신저가를 기록하게 됐다. 그러나 현재 저점을 찍은 뒤 다시 230달러대까지 반등하고 있어 큰 모멘트는 아니지만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의 전망은?나는 향후 넷플릭스 주가 전망은 부정보다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위 차트를 보면 현재 162.71달러라는 저점을 기록했고, 최근 연준 기준금리 인상, 달러 환율 인상 등 악재가 계속 폭발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신저가를 깨기보다는 천천히 우상향하며 상승 모멘트를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2차 폭락 시점을 기점으로 현재 250달러에서 162달러 사이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다음 실적 발표일인 10월 18일 어느 정도 어닝만 뒷받침하면 현재 상승 모멘트이기 때문에 박스권을 돌파하면 주가는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봐주세요.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