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과 아내 사이에 서로를 가리키는 말에는 아내, 아내, 아내, 시아버지, 남편 등이 있다.그 명칭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아내:”안에 “에서 유래한 말로 혼인 관계에서 여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안해의 유해는 “내+바다”에서 “우치”는 집 안쪽을 의미하며”바다”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소유 격으로 “것”을 의미한다. 즉 안해는 집안의 것을 표현하는 말이다, 전업 주부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단어가 됐다. 이후 안해이 “아내”로 변형된 아내라는 말이 보편화했다.-아내:춘추 전국 시대에 아내를 지칭하던 말 중 서민의 아내를 지칭하던 말이었다. 요즘은 주로 남에게 아내를 가리킬 때에 사용한다.-치어 미:어른 앞에서 자신의 아내를 낮게 부르는 말로 아내를 옛날부터 호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부인:남편이 아내에게 부인이란 말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이 부를 때에도 사용. 고대 중국에서는 제후의 아내를 일컫는 말로, 사대부 집에서는 남자가 자기 아내를 부르는 말이었다. 아내와 아내 등보다 격식 있는 호칭이다.-엄마, 엄마:남편이 자신의 부모에게 아내를 가리키는 말이다. 아이 이름을 지어”○ ○ 어미”,”○ ○ 엄마”이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부모님 앞에서는 아내를 낮추어 말해야 하기 때문”○ ○ 엄마”은 쓸 수 없다.-마누 라:마누라는 고려 후기 몽골에서 들어온 말로 조선 시대 말기에 세자빈에 사용된 존칭”마노라”에 유래하는 말이다. 조선 시대 중기까지는 “엄마”와 다름없다 불리다가 조선 말기가 되어”엄마”보다 낮은 단계의 호칭으로 쓰였다. 그 뒤 그나마 낮은 단계로 의미가 변화하는 늙은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 됐다.남편:결혼한 부부 중 남자 쪽을 가르치는 용어다. 자신의 남편뿐 아니라 남의 남편을 가리킬 때에도 사용-장인:어른 앞에서 자신의 남편을 낮게 부르는 말로 예전에는 여자 집종의 남편을 가리키는 호칭이기도 했다. 치어 쌀에 상응하는 말이기도 하다.-부군:남의 남편을 비싸게 부르는 말이다.-부방:결혼한 처남과 졸개의 형수의 남편을 부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결혼한 여자가 자신의 남편을 비싸게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영감:영감이라는 말은 원래 조선 시대 관리를 부른 호칭이었다. 그러나 후대에 내려오고 고령자를 존칭하는 말로 전화되고 여성이 남의 남편을 높이 부르거나 자신의 남편을 존경할 때에도 쓰인다.-디지틀 조선 일보 19.01.29일자보다 발췌.기타-부인:스승의 부인을 높이거나 윗사람 부인을 높이거나 하는 말. 일반적으로 남의 아내를 몰라보고 높은 부를 때에도 쓰이는 호칭.-스승:스승의 남편을 높이 부르거나 윗사람의 남편을 비싸게 부르는 말. 일반적으로 지인, 남의 남편을 예의 바른 높은 부를 때에도 쓰이는 호칭.—표준 국어 대 사전 참고.